1-7. 소프트 소자용 하이브리드 전극 개발
| 연구참여자
member
|
|
|
| 연구목표
나노카본소재에 고차구조 관능기 도입을 통해 금속소재와의 하이브리드화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소프트 소자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하이브리드 고전도성 소재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하고, 이를 이용해 고전기전도도와 고유연성을 지니는 고신뢰성 유연전극 기술 확보
| 연구내용
Topic 1. 나노카본/나노금속 하이브리드 소재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유연전극기술 개발
- 나노카본 표면에 금속의 기핵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고차구조 관능기 도입
- 다양한 금속 종류의 나노카본/나노금속 하이브리드 구조체 합성
- 하이브리드 소재 상온 합성 공정 확립
- 유연/신축성 전극용 전도성 잉크 및 페이스트 개발
- 고신축성 나노카본/나노금속 하이브리드 유연전극 개발
금속이온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고차구조 관능기 도입에 의해 금속구조 제어
Topic 2.
| 기대효과
- 탄소나노튜브, 그래핀과 같은 나노카본소재는 그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나노금속과 복합화하여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할 경우 차세대 소프트 전기전자소자의 핵심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
- 기존 탄소나노소재와 나노금속, 특히 비귀금속을 복합화한 하이브리드 소재의 의 경우 저가 합성공정 확립을 통해 가격 경쟁력있는 소재 기술 확보 가능
- 현재까지 국내 기업체에서는 주로 상용화된 금속나노입자나 금속 플레이크 등을 이용한 고전도성 페이스트 기술 개발에 치중되어 있으므로,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나노카본/나노금속 하이브리드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페이스트 기술은 소프트 소자용 전극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용 전극, 유연태양전지용 전극, 전자파 차폐, 방열 등의 응용분야에 접목이 가능한 핵심원천기술임
| 대표연구실적
1. J. T. Han, B. H. Jeong, S. H. Seo, K. C. Roh, S. Kim, S. Choi, J. S. Woo, H. Y. Kim, J. I. Jang, D. ?C. Shin, S. Jeong, H. J. Jeong, S. Y. Jeong, G. ?W. Lee, Nature Commun. 2013, 4, 2491.
2. J. S. Woo, J. T. Han, S. Jung, J. I. Jang, H. Y. Kim, H. J. Jeong, S. Y. Jeong, K. ?J. Baeg, G. ?W. Lee, Sci. Rep. 2014, 4, 4804.
3. H. Kim, H. H. Kim, J. I. Jang, S. K. Lee, G. ?W. Lee. J. T. Han, K. Cho, Adv. Mater. 2014, 26, 8141.
4. Tech. Transfer. “CNT/Ag nanowire hybrid transparent electrode technology” (\500,000,000) 2016. 03